분류 전체보기 889

스프링(Spring) DI(의존관계주입) 이란?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네티를 공부하다가 스프링을 같이 연동해서 사용을 해야해서 스프링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I(의존관계주입)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의존관계가 먼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세 개의 클래스가 있습니다.MainClass, Sub1, Sub2 MainClass 는 혼자서 동작하지 못하고, Sub1 과 Sub2 를 의존해서 동작합니다.즉 Sub1 이나 Sub2 가 변경되거나 무언가 추가가 되거나 형식이 바뀐다면,그 영향이 MainClass에 전달된다는 것입니다.대표적 예가 MainClass 에서 Sub1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경우입니다..

이클립스 패키지 저장만으로 자동 임포트 eclipse package auto import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정말 짧게 보고 지나갑니다. 바로 이클립스에서 자바 패키지 자동 임포트 시키는 방법인데요. 보통 단축키로 임포트하거나, 저 같은 경우는 빨간 줄 나면마우스커서를 올려서 어떤 패키지를 임포트할 지 골랐는데요,간단한 설정 만으로 저장하면 자동 임포트가 되게 할 수 있습니다.Windows -> Preferences -> Java -> Editor -> Save Actions ->Perform the selected actions on save 체크-> Organize imports 체크하시면 끝! 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개발 etc 2017.12.27

SSL 과 TLS 란?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SL 과 TLS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SSL : Secure Sockets Layer 의 약자로 보안 소켓 계층을 이르는 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 규약 프로토콜입니다. 넷스케이프에서 발명했습니다.이 SSL 이 IETF 라는 곳으로 이관하게 되면서 이름 또한 SSL 에서 TLS로 변경되었습니다.TLS : Transport Layer Security 의 약자입니다.그래서 공식 명칭은 이제 TLS 이지만 SSL 이라고 더 많이 말하는 것 같습니다 ㅎㅎ 인터넷에서 상대방을 인증하고, 비밀성과 무결성을 ..

아무거나 2017.12.26

HTTP 와 HTTPS 의 차이!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목 그대로HTTP 와 HTTPS 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 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 입니다.위키피디아에서는 HTTP에 대해 아래처럼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HTTP HTTP의 단점은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클라이언트가서로 주고 받는 메시지(데이터)들을 악의적인 사용자들이 감청할 수 있습니다.특히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ID 와 PASSWORD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이 ..

아무거나 2017.12.26

2017 크리스마스 특선영화 지상파 & 종합편성 & 케이블 영화 편성!!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크리스마스가 벌써 이틀 앞으로 다가왔는데요.크리스마스 특선 영화에 대해 알아봅시다!!!먼저 지상파!총 세편의 영화를 해주는데요.1. 꾸뻬씨의 행복여행KBS2 14시 50분 2. 폴라 익스프레스 (애니메이션)EBS1 12시 10분 3. 마리안느와 마가렛KBS1 22시 50분 지상파에서는 딱히 재밌겠다 하는 영화는 없는 것같네요;;;;; 다음은 종합편성 채널인데요.딱 한 편의 특선영화를 해줍니다.바로바로~~~~강동원과 황정민이 주연을 맡았던검사외전입니다.채널은 TV 조선에서 방영해주고요.시간은 15시 00분 입니다!! 다음은 케이블입니다.재밌는 영화들을 ..

아무거나 2017.12.23

Netty 네티의 이벤트 루프 - 단일 스레드와 다중 스레드의 장단점, 네티의 단일 스레드와 다중 스레드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벤트 루프 :이벤트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 이벤트 리스너와 이벤트 처리 스레드에 기반한 방법.=> 대부분의 UI 처리 프레임워크가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벤트를 처리하는 로직을 가진 이벤트 메서드를 대상 객체의 이벤트 리스너에 등록하고 객체에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 처리 스레드에서 등록된 메서드를 수행합니다. 둘. 이벤트 큐에 이벤트를 등록한 후 이벤트 루프가 큐에 접근하여 처리하는 방법=> 하나. 의 방법에 비해서는 프레임워크 구현이 복잡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보다 간단하게 사용할 ..

Netty(네티) 2017.12.22

메이븐이란? 이클립스에 플러그인 메이븐 추가하기!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메이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이클립스에 메이븐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메이븐: Apache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도구 입니다.프로젝트 관리에는 1. 소스 코드 관리2. 라이브러리 의존성3. 빌드, 테스트, 리포트, 프로젝트 생명 주기와 같은 일련의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를 관리합니다. 메이븐은 이클립스 루나 (4.4) 버전 부터는 메이븐 이클립스 플러그인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때문에 루나 버전 이상을 사용하시면 따로 플러그인을 설치하실 필요 없습니다. 루나 버전 미만을 사용하신 다면 따로 ..

아무거나 2017.12.21

엔디안 : Big Endian 과 Little Endian 차이!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네티를 공부하던 중 엔디안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정리하고자 포스팅합니다. 엔디안 ( Endian ) : 단어를 형성하는 2진 바이트에 저장하는 바이트의 순서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Big Endian : 최상위 비트부터 부호화되어서 저장됩니다.사람이 숫자를 쓰는 방법처럼 큰 단위의 바이트가 앞에 오는 걸 말합니다. Little Endian : 최하위 비트부터 부호화되어서 저장됩니다.Big Endian 과 반대겠죠? 그리고 몇몇 아키텍처에서는 2바이트 단위와 1바이트 단위로서로 다른 순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요.Middle Endian 이라고 부릅니다..

아무거나 2017.12.19

Netty 네티의 장점[1] : 블로킹과 논블로킹 변경을 간편하게.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블로킹 모드와 논블로킹 모드를 선언하는 관점에서네티의 장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소켓의 동작 방식은 블로킹과 논블로킹 두 가지 모드로 나뉘는데요. 블로킹은 요청한 작업이 성공하거나 에러가 나기 전까지는 응답을 돌려주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논블로킹은 요청한 작업의 성공 여부와는 상관없이 바로 요청한 작업의 결과를 돌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자바에서의 블로킹 모드와 논블로킹 모드의 코드를 보겠습니다.Blocking.java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public class Bloc..

Netty(네티) 2017.12.19

디자인 패턴[1] : 빌더 패턴 Builder pattern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디자인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디자인 패턴이란 무엇인가?소프트웨어에서의 디자인 패턴이란 => '특정 문맥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이다.' 라고위키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ㅎㅎ 그 중에서 빌더 패턴에 대해 알아봅시다. 한 줄로 설명을 해보면'빌더 패턴이란 메서드의 호출 결과로 자신의 객체 참조를 돌려주는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는 패턴의 일종'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클래스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B9%8C%EB%8D%94_%ED%8C%A8%E..

디자인 패턴 2017.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