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3(스위프트3)

swift3 스위프트3 변수와 상수

알통몬_ 2017. 7. 2. 21:38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통몬입니다.

공감 및 댓글은 포스팅 하는데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

포스팅 내용이 찾아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더 깔끔하고 좋은 포스팅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이틀전부터 ios 앱도 개발해보고자 스위프트3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

꾸준히 해야하는데 걱정이 앞서네요 ㅎㅎ

무튼 할 수 있는데까지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처음은 변수와 상수에 대해서 공부했는데요.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var name = "알통몬"

이었다가 알통몬이 진화를 하면 근육몬이 되죠??

그럼 name의 값도 근육몬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name = "근육몬"


상수는 자바에서 final과 같습니다.

한번 값이 정해지면 변할 수 없죠.

예를 들어 저는 1992년생입니다.

     let birthYear = 1992

생년월일은 변할 수가 없죠?

     birthYear = 1993 => 에러발생.


위처럼 간단하게 변수와 상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스위프트는 자바처럼 변수 타입별로 나눠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에서는 

정수형은 int

문자열형은 String

문자는 char 등등으로 선언했다면

스위프트는 모두

var 로 선언합니다.

대신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해 줄 수도 있습니다.

명시적 타입은 첫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사용합니다.

ex)

     var name : String = "알통몬"

     var birthYear : Int = 1992

     var weight : Double = 70.7

     var visualAcuity : Fload = 0.4

     var isTrue : Bool = true

처럼 변수에 들어가야할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해주면

해당 변수에는 명시적으로 선언된 타입만 값으로 대입될 수 있습니다.


Boolean 타입은 자바나 다른 언어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자바를 예로 들면 

     boolean a

a에는 true 또는 false 가 들어갈 수 있죠?

게다가 true 경우 1을 false 일 경우 0을 넣어도

알아서 true 와 false를 판단합니다.

하지만 스위프트는 

true 또는 false만 대입될 수 있으니 헷갈리시면 안됩니닷!~ ㅎㅎ


그리고 문장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따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한 줄에 여러개를 선언하고 싶을 때는 세미콜론을 사용하면 됩니다.


Character 형의 경우 자바에서는 '값' 처럼 사용하지만

스위프트에서는 Character 형도 "" 안에 값을 넣습니다.

그리고 Charater 형은 유니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니코드를 사용하는 모든 값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모티콘도 대입할 수 있습니다.



암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환

스위프트에서 암시적 데이터 타입의 변환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Character 타입 값을 String 타입에 대입하거나,

위에서 언급한 정수 0이나 1을 Bool 타입에 대입하거나

허용되지 않습니다.

한 가지 허용되는 경우는

Int 타입 값을 Float 타입이나 Double 타입에 대입하는 경우는

허용됩니다.


이상입니다!!


영어강의를 듣고 공부하는 차원에서 포스팅한 내용이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낌없는 지적 부탁드려요~



반응형